100PPM 전환시기는 부적합품률을 퍼센트(%)단위로 표시했는데 즉 100개 중 부적합품이 몇 개인지를 따지며 관리해 왔으나 이 정도 수준의 부적합률을 관리로 어려워 PPM을 주로 쓰이는 화학분야의 부적합품률 관리를 하기위해 PPM을 도입을 하게되었습니다.
100PPM 운동개요
100PPM 품질혁신 활동은 부적합률을 100ppm, 즉 제품 100만개중 100개(0.01%) 이하로 낮추자는 목표를 정해 놓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 구성원 전원이 참여하는 품질혁신 활동이다.
ppm이란 원래 화확분야에서 주로 쓰이는 Part Per Million에서 유래된 단위이다.
처음으로 1970년대 일본 마츠시타 TV사업부가 부적합품을 줄이기 위해ppm을 부적합품률 단위로 처음 도입하였으며, 마츠시타가 이 단위를 도입하여 부적합품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사례가 소개된 후 세계 여러기업이 품질관리에서퍼센트(%) 대신 PPM을 사용하여 부적합품률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2. 100PPM 도입배경
종래 부적합품률을 퍼센트(%)단위로 표시했는데 즉 100개 중 부적합품이 몇 개인지를 따지며 관리해 왔으나 이 정도 수준의 부적합률을 관리로는 세계시장에서 선진국 제품과 더 이상 경쟁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PPM 수준의 부적합품률 관리는 100만개 중 부적합품이 몇 개인지를 따지는 것으로 %(퍼센트)로 관리하는 것보다 1만 배나 업격하게 관리하는 것입니다.
결국 무결점(zero defect)의 뜻이 담긴 말입니다.
이런 뜻에서 100ppm 운동은 거의 100% 적합품 생산운동(100% Perfect Product Movement)
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단순히 100ppm 품질목표를 달성하는데 두지 않고 지속적인 품질혁신을 통해 낭비적, 비생산적 요소를 제거하고 항상 100ppm 이하의 부적합품률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품질보증체제를 구축하는데 궁극적인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이 운동을 특히 전자, 자동차 등 부품의 경쟁력이 중요한 업종에 대해 '100ppm 인증업체'라는 자격제도를 만들어 모기업과 연대하여 부품경쟁력의강화로 유도하였습니다.
추진본부는 상공회의소이며, 최근 six sigma도입 등으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 이 운동을 Single ppm 운동으로 전환되어 진행하고 있습니다.
'금속재료&측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측 마이크로미터(Outside Micrometer) 사용법과 읽는법을 알아보자 (0) | 2024.08.30 |
---|---|
버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 사용법과 읽는법을 알아보자 (0) | 2024.08.27 |
용접 팁의 상태를 유지를 위한 팁 드레싱(Tip Dressing) (0) | 2024.08.26 |
일부 항목만 조사하는것을 샘플링(Sampling) 검사 (1) | 2024.07.17 |
공정능력지수(cpk)는 무엇일까요 (0) | 2024.07.05 |
저항 용접중 하나인 스팟용접(SPOT welding) (0) | 2024.07.04 |